프로그램에서 분기를 해야 할 때 사용하는 것이 바로 조건문이다.
자바에서는 if문과 swich문을 제공한다.
1. 조건문 if
조건문의 값이 true이면 실행되고,
false면 건너뛴다.
if문의 형태는 아래와 같다.
1) if (조건식){
}
2) if (조건식){
}else{
}
3) if (조건식1){
}else if(조건식2){
}else if(조건식3){
}else{
}
4) 중첩 if 문
- if 문 안에 또다른 if문이 있는 것
2) if (조건식){
if(조건식){
}
}
2. switch 문
- 코드가 간결해지는 장점 있다.
- 조건식에는 정수식만 가능했지만, java 1.7부터는 String도 가능함
- break문이 없으면 다음으로 무조건 진행하니 주의할 것.
1) 형태
switch (조건식) {
case ‘A’ :
~~~
break;
case ‘B’ :
~~~
break;
case ‘C’ :
~~~
break;
}
윗 문장은 조건식이
'A'면 첫 문장을 수행하고 break를 만나 switch문을 빠져나가고
'B'면 두 번째 문장을 수행하고 break를 만나 switch문을 빠져나가고
'C'면 세 번째 문장을 수행하고 break를 만나 switch문을 빠져나간다.
2) switch 문 예제
switch((int)(avg/10){ //double을 int로 변환
case 10: //아무 코드가 없으면 밑으로 간다(break가 없으므로)
case 9: grade = “A”; break;
case 8: grade = “B”; break;
case 7: grade = “C”; break;
case 6: grade = “D”; break;
default: grade=”F”; //나머지 해당 안 되는 모든 케이스
}
switch 문장의 조건식에는 정수와 문자열만 된다.
Tip :
1) ctl + shift + F : 코드 자동 정리
2) 자바에서 package는 디렉토리, class는 파일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 java.lang -> 기본 패키지. 기본패키지는 import를 생략한다.
- java.util -> import 해야 함.
3) ctl + D => 한 라인 삭제
4) Integer.parseInt('123') -> 스트링인 '123'을 숫자로 바꿔줌
int num=Integer.parseInt(args[0]);
5) main 함수의 매개변수 분석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스트링형 배열 변수임
- String[] args : ‘명령형 매개변수(command line arguments) ’ 임.
즉, 콘솔에서 java 명령어로 실행할 때 파일명 뒤에 추가되는 매개변수를 말함.
예) java Exam_if 10 20 30 -> 10 20 30이 매개변수이고 args배열에 입력됨.
- 배열로 선언되어 있으므로 위와 같이 여러 개를 한꺼번에 적어도 됨.
- 이클립스에서 실행시에는
① 실행버튼 바로 옆의 역삼각형을 누르면 메뉴가 나온다.
② 밑에서 두 번째 메뉴인 Run Configurations... 을 클릭
③ Arguments 탭 클릭
④ 첫 번째 Program arguments 란에 매개변수 입력하고
⑤ run 버튼 클릭하여 실행하면 된다.
'공부방 > 자바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 클래스와 객체 (0) | 2020.07.15 |
---|---|
자바 Method(메소드) (0) | 2020.07.13 |
자바 배열 (0) | 2020.07.05 |
자바 반복문(for, while, do while, break,continue) (0) | 2020.07.04 |
자바 연산자와 피연산자 (0) | 2020.04.11 |
자바의 자료형과 변수에 대하여 (0) | 2020.04.10 |
cmd에서 자바 컴파일 및 실행 방법! (0) | 2020.04.10 |
'이클립스 설정'. 설치만으로 끝난 것이 아니다! (0) | 2020.03.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