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시장이 한 번씩 이상하게 느껴질 때가 있습니다. 주가지수선물과 옵션, 개별주식의 선물과 옵션이 겹칠 때인데요. 과거에는 ‘네 마녀의 날’이라고도 불렀지만, 요즘은 ‘선물옵션 동시만기일’ 혹은 ‘선물옵션 만기일’로 더 많이 부르는 것 같습니다. 이날이 되면 주가가 출렁거리면서 변동 폭이 심한데요. 왜 그런지 알아보았습니다.
선물과 옵션
선물이란 약속한 일정 시점에 미리 결정된 가격으로 상품이나 금융자산을 인도하기로 약속한 거래입니다. 옵션이란 약속한 미래의 일정 시점에 상품이나 금융자산을 약속한 가격으로 사거나 팔 수 있는 권리를 말하는 것이고요.
선물은 약속한 기일이 되면 무조건 거래를 해야만 합니다. 반면, 옵션이란 사고파는 권리에 불과하므로 약속한 기일이 되어도 본인에게 불리하면 옵션을 산 금액(프리미엄)만 포기하면 거래를 하지 않아도 되는 차이가 있습니다.
선물옵션 만기일
선물 만기일은 3, 6, 9, 12월 둘째 주 목요일입니다. 분기마다 있습니다.
옵션 만기일은 매월 두 번째 목요일입니다.
선물만기일과 옵션만기일이 겹치는 3, 6, 9, 12월 둘째 주 목요일을 선물옵션 만기일이라고 부릅니다.
선물옵션 만기일이 되면 항상 대규모의 거래가 일어납니다. 선물과 옵션 소유자들은 가지고 있는 매물을 청산해야 해서, 주식시장에는 평소보다 많은 물량이 나오는데요. 이때는 주식의 매매 또한 정신없이 일어나므로 매매할 때는 주의해야 합니다.
상승에 베팅한 세력이 주가 하락으로 큰 손해를 보고 있다면 이들은 주식시장에서 대량으로 주식을 사들여 주가를 끌어 올리려고 합니다. 반대로 하락에 베팅한 세력들은 주식을 내다 팔겠죠. 이렇게 해서 손해를 최소화하거나 이익을 최대화하려고 하기 때문에 주가는 널뛰기할 수 밖에 없습니다.
만약, 골치 아픈 종목이 있는데, 이 종목이 이날 급등했다면 얼른 팔아버리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다음 날이 되면 다시 원위치할지도 모르니까요. 그러나 주식시장과 선물시장에 정통한 고수가 아니라면, 그냥 HTS나 MTS에 접속조차 하지 않고 하루를 보내는 것을 추천합니다.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찰청 이파인으로 신호위반과 속도위반 과태료 미리 조회하자! (0) | 2021.07.16 |
---|---|
실내자전거 운동 효과와 소모 칼로리 (0) | 2021.07.14 |
공매도 뜻과 공매도 잔고, 대차잔고 확인 방법 (5) | 2021.07.12 |
차대번호 조회로 차량의 생산 일자(제조년월일) 알아내는 법 (2) | 2021.07.07 |
콩팥(신장)에 좋은 음식과 해로운 음식 몇 가지 (0) | 2021.06.30 |
유튜브 성인인증 살짝 피해 가는 법 (1) | 2021.06.16 |
평수 계산기, 84(85) 제곱미터 면적의 아파트는 몇 평? (0) | 2021.06.14 |
주식 PBR의 뜻과 계산 공식 정리 (0) | 2021.06.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