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모든 질병도 마찬가지겠지만, 특히 콩팥이 좋지 않으신 분은 음식을 잘 가려서 먹어야 합니다. 저도 가족 중에 콩팥 수술을 한 사람이 있어서 이 글을 쓰게 되었는데요. 의사 선생님이나 약사 선생님 말씀도 그렇고, 인터넷 자료 조사 결과도 그렇고... 한마디로 신장이 안 좋은 환자는 먹을 음식이 없다는 것입니다. 그만큼 조심해야 합니다.
칼륨과 인
콩팥은 칼륨과 인에 상당히 취약합니다. 이 두 물질은 물론 우리 몸에 없어서는 안 될 물질이어서 반드시 음식으로 섭취해야만 합니다. 우리 몸이 쓰고 남은 칼륨은 오줌으로 배출되는데, 콩팥 기능에 이상이 있거나, 혹은 하나만 가지고 있는 분들은 칼륨을 전부 배출하지 못해, 몸에 쌓일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고칼륨혈증에 걸려 위험한 상황이 올 수도 있습니다.
인 역시 마찬가지인데요. 콩팥 기능 이상으로 인을 제대로 배출하지 못해 혈액 속에 인이 과다하게 쌓이면, 상대적으로 칼슘 수치가 내려갑니다. 이렇게 되면 뼈에 있는 칼슘이 혈액으로 나와서 수치를 맞추려고 하므로, 칼슘이 부족해진 뼈가 약해집니다.
콩팥을 1개만 가지고 있거나 콩팥 기능이 심하게 저하되어 투석까지 생각하고 있는 환자는 칼륨과 인이 많은 음식을 특히 조심해야 합니다. 그런데 문제는 칼륨과 인이 대부분의 식품에 있다는 점입니다.
콩팥 환자가 조심해야 할 음식들
칼륨은 과일이나 채소에 많이 있습니다. 콩팥 기능이 좋지 않은 사람들이 피해야 할 음식들을 모아봤습니다.
1) 육류와 우유, 치즈 같은 각종 유제품
2) 모든 해조류
3) 모든 과일.
4) 모든 채소.
5) 정제염과 정제 설탕
6) 물이 아닌 음료수와 탄산음료, 커피
① 해조류와 수박, 체리, 늙은 호박의 경우, 경증 환자라면 오히려 콩팥 기능에 도움이 됩니다.
② 채소를 드시려면 반드시 데치거나 삶아 먹어야 합니다. 그래야 칼륨이 많이 없어집니다. 이때 물양을 많이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채소를 익히는 과정에서 엽산이 파괴되므로 엽산을 따로 영양제로 보충해야 합니다.
③ 어쩔 수 없이 과일을 소량이라도 드시려면 반드시 껍질을 제거하고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과일 껍질에 칼륨이 많이 있습니다.
④ 우리의 주식인 쌀에도 칼륨과 인이 있습니다. 의외로 현미에 제일 많고, 발아 현미, 흰쌀 순입니다. 흰밥만 먹는 것도 안 좋으니까 발아 현미와 흰쌀을 적당히 섞어 먹는 게 좋을 듯합니다(이 부분은 제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콩팥에 좋은 음식
콩팥에 좋다고 소개하긴 하지만, 지금 소개하는 음식들도 전부 칼륨과 인을 가지고 있습니다. 지구상에서 이 두 물질이 없는 먹거리는 없다고 할 정도라는데요. 그래서 콩팥 환자는 먹는 것을 조심 또 조심해야만 합니다. 그래서 아래 음식이 좋다고 무작정 많이 드시지 않길 바랍니다.
1) 보리차나 생수 종류의 물
2) 양배추
3) 블루베리
4) 마늘
5) 양파
6) 아스파라거스
7) 아주 소량의 검은깨
위에서 소개한 식품 중에 비교적 칼륨 함유량이 적은 것은 양배추와 블루베리입니다. 나머지는 콩팥 기능에 도움을 주긴 하지만 칼륨 함량도 비교적 높아서 주의 깊게 섭취하셔야 합니다.
물을 많이 먹으면 콩팥의 여과 기능에 도움이 됩니다. 여러 가지 좋다는 약제들을 넣어서 만든 약물보다는 생수나 보리차가 좋습니다. 약물은 커피처럼 이뇨작용이 있어서 콩팥에 부담을 준다네요.
물을 드실 때는 한꺼번에 너무 많이 먹지 말고 여러 번에 걸쳐 나누어 먹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콩팥 기능이 30% 이하로 떨어진 중증 환자는 물도 부담될 수 있으므로 여러 번에 걸쳐 나누어 마시길 권하고 있습니다.
콩팥에 좋은 음식과 해로운 음식을 구분해서 적어 놓긴 했지만, 사실 제 생각엔 콩팥에 좋은 음식은 없다고 보입니다. 그 정도로 모든 음식에 칼륨이 있기 때문에 콩팥에 물이 좋다고 물을 많이 드시고, 양배추나 블루베리가 좋다고 집중적으로 많이 드시면 안 됩니다. 그렇게 하면 콩팥에 이로운 성분을 많이 섭취하겠지만, 비례해서 칼륨과 인도 많이 먹는 결과를 낳기 때문입니다. 어쩔 수 없이 콩팥 환자는 적당한 선에서 음식조절을 잘해야만 하겠습니다.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내자전거 운동 효과와 소모 칼로리 (0) | 2021.07.14 |
---|---|
공매도 뜻과 공매도 잔고, 대차잔고 확인 방법 (5) | 2021.07.12 |
차대번호 조회로 차량의 생산 일자(제조년월일) 알아내는 법 (2) | 2021.07.07 |
선물옵션 만기일, 조심하세요! (0) | 2021.07.06 |
유튜브 성인인증 살짝 피해 가는 법 (1) | 2021.06.16 |
평수 계산기, 84(85) 제곱미터 면적의 아파트는 몇 평? (0) | 2021.06.14 |
주식 PBR의 뜻과 계산 공식 정리 (0) | 2021.06.11 |
은행별 ATM기 출금/이체한도와 천 원 입금에 관한 정보 (1) | 2021.06.02 |
댓글